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리누스 토르발스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생애 == [[통계학|통계학자]]인 외할아버지가 [[코모도어 인터내셔널]] VIC-20 컴퓨터를 가지고 있어, 어릴 적부터 컴퓨터를 좋아했으며 집안 분위기 자체가 자기가 좋아하는 걸 하면 적극 밀어주는 스타일이라 성장기의 대부분을 [[컴퓨터]]와 지냈다. 그의 어머니의 말을 빌리자면 키우기 너무 쉬웠다고 한다. 컴퓨터 한 대와 하루 두 번 [[파스타]]만 주면 됐다고. 오직 [[컴덕후|컴퓨터만 좋아했지만]] 딱 한 번 다른 쪽에 빠진 적이 있는데 대학 조교 시절 만난 지금의 아내이다. 이에 대해 그의 어머니는 '위대한 자연의 승리'라고 말했다. 여담으로 부인 라나 토르발스(결혼 전 이름은 라나 토브)가 상당히 독특하다. 전직 유치원 교사이면서 핀란드 [[가라테]] 챔피언을 6번이나 했었다고. 토르발스 본인의 자서전에는 [[https://web.archive.org/web/20200213131705/https://twitter.com/John_Grib/status/1227874932740087808|아내 관련 에피소드]]가 나와 있는데, 그녀가 수강하던 대학 컴퓨터 강의 수업에서 당시 조교였던 토르발스가 "나에게 이메일을 보내 보세요"라는 숙제[* 당시는 1993년으로 인터넷이 갓 보편화되던 때였다고 한다.]를 내줬다고 한다. 수강생 15명 중 14명은 수업 관련 간단한 내용이나 질문을 이메일로 써 보냈는데, 그녀는 첫 이메일로 수업 조교에게 데이트를 신청했다고 한다. 군 생활은 포병 [[소위]]로 예편했다.[* [[핀란드군]]은 징병제로 복무 기간은 사병은 10개월, 장교는 1년.] 대체 복무는 이보다 훨씬 길고, 복지 시설에서 노인을 돌보는 건 답답하겠다고 생각해서, 이왕 하는 김에 장교로 갔다고 한다. 징병제는 세계 어디나 비슷한 듯. [[사격지휘병|FDC]]로 근무했는지 야포를 방열하고, 야전선 깔고, 스키 타고, 혹한기 훈련 하면서 개고생한 이야기가 나온다. 하루 종일 스키 타고 이동하거나 통신선 2롤을 지고 10km를 뛰었다고 한다. 1996년에 [[미국]] [[캘리포니아]]로 이주하여 직업을 갖고 일을 하다, 2010년 9월에 미국 시민권도 취득하여 현재는 미국에 거주 중이고 완전히 [[미국인]]이 되었다. [[오리건]] [[포틀랜드]]에 거주 중. 미국 시민권을 취득하였으나, [[핀란드]] 국적은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미국은 [[복수국적|복수 국적]] 가능 국가이다. 참고로 핀란드도 2003년부터 복수 국적이 허용된 상태다. 세 명의 딸과 핀란드 [[가라테]] 챔피언에 6번이나 오른 아내와 함께 살고 있다. 사라라는 이름의 여동생이 있으며 어린 시절엔 앙숙이었지만 지금은 서로 친하다고 한다. 비슷하게 언급되는 IT업계 거물 중에서는 가장 평온한 사생활을 누리고 있는 편이다.[* 언급되는 잡스는 사생아도 인정 안 할 정도로 막장 인성과 사생활로 유명했으며, 빌 게이츠는 멜린다와 결혼 생활 때문에 이미지가 좋아졌다가 이혼하는 과정에서 온갖 스캔들이 터져 이미지가 나빠진 상태다. 워즈니악은 주식을 나눠줬다고 호구 취급 당하고 자신을 위해 자원봉사를 했던 일반인에게도 친절하게 답장 메일을 써줄 정도로 개인적 인성은 나쁘지 않으나 사생활에 굴곡이 좀 있어 수차례 이혼과 재혼을 반복했다. 스톨먼은 극단적인 자유주의자에 평소 사생활이 엉망이라는 얘기가 종종 나오는 편.][* 모두까기 성향을 가지고 있지만 대부분의 언행은 컴퓨터 기술에 대한 것들이라서 인간관계에서 문제되는 발언이 발굴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그나마 있는 논란이라고 해봐야 후술된 PC관련 논란인데, 이것도 "더 나은 결과물만 만들 수 있으면 용어가 대수냐" 라는 입장이라서 의도적인 차별주의와는 거리가 멀다.] 일전에 [[트랜스메타]]에서 근무했지만 지금은 오픈 소스 개발 연구소의 수석 연구원으로 일하고 있다. 오픈 소스 개발 연구소(OSDL, Open Source Development Labs)는 기업용 컴퓨팅 환경에서 Linux 발전 속도를 가속시키자는 취지에서 만든 국제적 컨소시엄. [[대한민국]]에서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등이 이 컨소시엄에 참여하고 있다. 그 후 Linux 재단과 합쳐졌으나, 연구소는 존속 중이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